Kubernetes
로컬에 Kubernetes 실행 환경 만들기
woonizzooni
2020. 3. 29. 23:20
대충 3가지 옵션으로 추려봤다.
- docker-desktop (이것을 사용하기로) : https://docs.docker.com/docker-for-mac/kubernetes/#use-the-kubectl-command
- minikube (vm방식) : https://github.com/kubernetes/minikube
- kind (컨테이너방식) : https://github.com/kubernetes-sigs/kind
이미 docker desktop ce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고,
EKS를 주로 이용할 것이니 그냥 docker-desktop의 쿠버네티스를 이용하기로 했다.
메뉴막대(화면 상단) 도커 아이콘 클릭
> Preferences 선택
> 화면 좌측 Kubernetes 선택
- Enable kubernetes 체크박스 체크
- Deploy Docker Stacks to Kubernetes by default 체크박스 체크(선택)
- Apply & Restart선택 (잠시 뒤에 화면 하단에 Kubernetes starting > running표시가 됨)
아래와 같이 'docker-desktop'이름의 노드가 생성되어 있음.
$ kubectl get node ✔ 16937 23:15:46
NAME STATUS ROLES AGE VERSION
docker-desktop Ready master 2m12s v1.15.5
$ kubectl config get-contexts ✔ 16938 23:16:01
CURRENT NAME CLUSTER AUTHINFO NAMESPACE
* docker-desktop docker-desktop docker-desktop
docker-for-desktop docker-desktop docker-desktop
이상 pod등을 실행할 노드 준비 끝.
기타)
가끔 CPU, Memory, disk등의 크기가 부족할 경우가 있는데,
Resources메뉴에서 본인 작업 환경에서 할당 가능한 크기를 설정해두자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