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행정구역분류
- macos
- wireshark
- spring cloud config
- Python
- kubectl
- golang
- dart
- Java
- ffmpeg
- Sysinternals
- aws cli
- VSCode
- configmap
- docker
- android studio
- aws
- nginx-media-server
- ebpf
- Flutter
- Android
- deployment
- Shell script
- Kubernetes
- namespace
- Windows10
- service
- RTMP
- HLS
- Pod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domain sharding (1)
woonizzooni

# 낙서장 # 이미 HTTP/2, HTTP/3이 나오는 마당에 뒷북 아닌가 싶기도 한데 알고 있던 내용을 적어본다. HTTP/1.1에서의 속도 개선 방법 '도메인 샤딩' 개념을 표준과 비교해서 살펴보자. o 표준/스펙 Hypertext Transfer Protocol -- HTTP/1.1 (RFC2616) https://tools.ietf.org/html/rfc2616 '8장'에서 HTTP 연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. 한번 쭉 읽어보자. 8. Connection 8.1 Persistent Connections http://hostname/image/1.png ~ 24.png일 경우 (단일 도메인) & 6개의 연결이 사용된다고 가정할 때, 1) 6개 요청 > 응답 오기까지 나머지 요청건 대기 (Pipeli..
Standard/HTTP1.1
2019. 7. 31. 21:01